2024.06.01 (토)

기상청 제공
  • 흐림속초16.3℃
  • 흐림22.5℃
  • 구름조금철원23.2℃
  • 구름조금동두천24.9℃
  • 맑음파주24.6℃
  • 구름많음대관령14.6℃
  • 구름많음춘천23.5℃
  • 맑음백령도18.9℃
  • 비북강릉15.3℃
  • 흐림강릉16.5℃
  • 흐림동해16.8℃
  • 맑음서울23.1℃
  • 맑음인천22.4℃
  • 구름많음원주22.3℃
  • 구름많음울릉도18.8℃
  • 구름조금수원22.6℃
  • 구름많음영월22.7℃
  • 구름많음충주23.2℃
  • 맑음서산21.8℃
  • 흐림울진18.3℃
  • 구름조금청주24.0℃
  • 구름많음대전23.7℃
  • 구름조금추풍령22.2℃
  • 구름많음안동23.0℃
  • 구름조금상주24.8℃
  • 구름많음포항21.7℃
  • 맑음군산20.8℃
  • 구름조금대구24.5℃
  • 구름많음전주21.7℃
  • 구름많음울산22.6℃
  • 구름많음창원26.5℃
  • 구름많음광주23.1℃
  • 구름조금부산25.2℃
  • 맑음통영24.0℃
  • 구름많음목포19.6℃
  • 구름조금여수24.6℃
  • 구름조금흑산도20.0℃
  • 구름많음완도23.1℃
  • 구름많음고창21.5℃
  • 구름많음순천20.6℃
  • 맑음홍성(예)23.1℃
  • 구름조금22.7℃
  • 구름조금제주22.4℃
  • 맑음고산18.9℃
  • 구름조금성산22.3℃
  • 구름조금서귀포23.5℃
  • 구름조금진주26.3℃
  • 맑음강화23.4℃
  • 맑음양평24.5℃
  • 구름조금이천25.1℃
  • 구름많음인제21.3℃
  • 구름많음홍천22.9℃
  • 구름많음태백19.0℃
  • 구름많음정선군25.6℃
  • 구름많음제천21.4℃
  • 구름조금보은22.9℃
  • 맑음천안22.1℃
  • 맑음보령23.0℃
  • 구름조금부여24.2℃
  • 구름조금금산23.2℃
  • 구름조금23.8℃
  • 구름조금부안21.2℃
  • 구름많음임실21.1℃
  • 구름많음정읍22.3℃
  • 구름많음남원21.5℃
  • 구름많음장수20.3℃
  • 구름많음고창군21.5℃
  • 구름조금영광군20.4℃
  • 구름많음김해시26.9℃
  • 구름많음순창군21.9℃
  • 구름많음북창원26.7℃
  • 구름많음양산시28.9℃
  • 구름조금보성군24.4℃
  • 구름많음강진군23.2℃
  • 구름많음장흥23.2℃
  • 구름많음해남21.6℃
  • 구름조금고흥24.4℃
  • 구름많음의령군27.2℃
  • 구름많음함양군23.5℃
  • 맑음광양시25.2℃
  • 구름많음진도군21.0℃
  • 구름많음봉화22.2℃
  • 구름조금영주23.3℃
  • 구름많음문경22.9℃
  • 구름많음청송군23.5℃
  • 흐림영덕19.8℃
  • 구름많음의성23.2℃
  • 구름많음구미23.6℃
  • 구름많음영천24.9℃
  • 구름많음경주시27.2℃
  • 구름많음거창22.7℃
  • 구름많음합천24.9℃
  • 구름많음밀양26.6℃
  • 구름많음산청24.5℃
  • 맑음거제25.8℃
  • 구름조금남해25.4℃
  • 구름많음26.4℃
미국, 단백질원으로 주목받는 수산물의 새로운 가치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 국제

미국, 단백질원으로 주목받는 수산물의 새로운 가치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수산물 수요가 세계적으로 급증하였다. 글로벌 컨설팅 기관인 맥킨지 앤 컴퍼니 (Mckinsey & Company)의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 아시아, 유럽, 라틴 아메리카 및 오세아니아를 중심으로 수산물 시장이 2020년에 비해 14%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수산물 공급은 시장 성장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야생에서 잡힌 수산물의 양은 전 세계 수산물의 85% 이상이 한계선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면서 제자리걸음을 기록하고 있다. 대체 수산물은 이러한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에 대한 해결책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그러나 현재까지 가격과 고객 수용 양 측면에 있어 이전에 식물성 닭고기나 소고기와 같은 다른 대체 단백질 제품들이 겪어 왔던 어려움을 비슷하게 겪고 있다. 


대체 단백질 시장에 있어 수산물은 아직까지 비주류 분야에 머물러 있었다. 이 시장은 지금까지 돼지고기, 닭고기, 소고기의 대체 단백질 제품에 집중해 왔다. 


그러나 수산물 수급의 불균형으로 인해 대체 수산물 공급원 분야에 성장 기회가 도래하고 있다. 시장 조사 기관인 글로벌 마켓 인사이트 (Global Market Insight)의 데이터에 따르면 식물성 어류 시장은 2022년 8억 달러 이상으로 평가되었으며, 2023년부터 2032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CAGR) 5.5%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수산물은 다른 단백질 공급원보다 훨씬 더 다양한 식품 종류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성은 식물성 수산물 시장이 닭고기 대체 단백질 시장과 같은 여타 단백질원 대체 시장과 차이를 가지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참치 시장은 연간 생산량 기준으로 세 번째로 큰 규모를 가지고 있지만 남획에 취약하고 양식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소비자들은 알바코어, 참다랑어, 프리미엄 참치 스테이크 제품 사이에 가격과 품질의 차이가 있을 것을 기대하고 있다. 대체 수산물 개발에 뛰어드는 참가자들이 전략적인 결정을 내릴 때 이와 같이 다양한 점을 모두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맥킨지의 보고서는 언급하고 있다. 


식물 기반 공간에서 공통적인 주제는 생산 비용을 현재 소비자들이 동물 기반 제품에 지불하는 것과 비슷한 수준으로 낮추는 것이다. 이는 대체 수산물 산업 플레이어들에게 큰 도전이다. 보고서는 이러한 목표 가격 측면에서 고급 어종들의 가격이 더 달성 가능한 가격에 가까우며, 이로 인해 생산자들에게 매력적이라고 지적하였다. 이는 대체 수산물이 육류 대체 단백질 제품과 경쟁 시에도 비교 우위를 만들 수 있다. 


참다랑어와 같은 일부 해산물의 경우 파운드당 40달러에서 200달러의 가격을 형성하는데 이는 간 쇠고기의 파운드당 4.99달러 보다 훨씬 높은 가격으로 제품 생산자가 가격 책정을 하는데 유리하다. 


가격과 함께 소비자 수용 역시 큰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특히 랍스터 낚시 지역으로 대표되는 수산물에 대한 지역적 관계, 다양한 수생종, 짠맛과 비린내 등은 대체 수산물이 소비자들에게 수용되는데 장애로 작용할 수 있다. 


양질의 단백질원으로 수산물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수산물은 남획, 혼획 등 다양한 문제로 인해 공급 증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시장 상황에서 대체 수산물 시장은 큰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여전히 상용화를 위한 어려움을 해결하는 과정에 있지만 추후 해당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높은 만큼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출처:https://www.fooddive.com/news/alternative-protein-poised-solve-seafood-supply-demand-imbalance/696000/

Alternative protein poised to solve seafood supply and demand imbalance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Award Winners